중국이 전기차 산업에 가격 인하 중단과 생산 조절을 촉구하고 있다.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이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다.
최근 몇 달간 중국 관료들은 전기차를 비롯한 분야에서 기업들이 과도한 경쟁에 자원을 쏟아붓지만 과잉 생산으로 수익이 줄어드는 '내권화(內捲化, involution)' 현상을 반복적으로 경고해왔다. 시진핑 국가주석도 인공지능(AI), 컴퓨팅 파워, 신에너지차 등 전략적 산업에 지방정부가 무분별하게 과도한 투자를 하는 문제를 직접 지적하며 과열 가능성을 비판했다.
7월 23일 시 주석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 경제 일부를 괴롭히는 '내권화'의 악순환을 깨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규제 당국은 테슬라의 경쟁사인 BYD를 포함한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을 소집해 과잉 생산에 대해 경고했다. 베이징과 상하이에 기반을 둔 컨설팅 업체 후통 리서치(Hutong Research)는 정부 기관들이 시 주석의 발언에 신속히 대응해 공급 측면의 감축을 약속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과잉 생산에 대한 정치적 긴박감과 함께 이 문제가 얼마나 광범위해졌는지를 보여준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은 극도로 낮은 가격에 익숙해졌고, 이에 따라 각 산업의 기업들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가격을 인하하거나 때로는 원가 이하로 판매하기도 한다. 전기차 제조사들도 예외는 아니다.
BYD는 저가 모델 '시걸(Seagull)'의 가격을 계속해서 낮추며 현재 5만5,800위안(약 986만 원)에 판매 중인데, 이는 공식 소매 가격보다 약 20% 낮은 수준이다. 경쟁사 그레이트월 모터스(Great Wall Motors)도 지난 6월 오라 3(Ora 3)의 가격을 약 20% 인하했다. 지난해 초 샤오펑 자동차(XPeng Motors)의 허 샤오펑 CEO는 일부 자동차 업체가 생존하지 못할 것이라며 가격 경쟁이 격화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지난달 중국은 1998년 이후 처음으로 가격법 개정안을 제안해 가격 경쟁을 억제하고자 했다. 이번 개정안은 정부의 감독을 강화하고 '불공정 가격'을 정의하며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가격을 조작하는 등 '내권화 스타일'의 경쟁을 방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회의적이다. 메릭스(Merics)의 안토니아 마이디(Antonia Hmaidi)는 중국 내 전기차 기업 중 흑자를 내는 곳이 거의 없으며 다수가 지방정부와 깊이 연계되어 있어 베이징 당국이 과도한 투자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해당 기업들의 도산을 원치 않는 지방정부들이 일부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과거 유사한 조치들은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지 못했다. 결국 정부는 해당 지역 경제를 지원할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이디는 중국이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상품을 수출하는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해외 기업들과 규제 당국들을 자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기적으로 이는 대부분의 중국 무역 상대국과의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라고 그녀는 덧붙였다.
유럽연합(EU)으로 진출한 중국산 전기차의 급증은 EU 관계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이들은 자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경쟁에서 밀릴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지난해 EU는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5%의 관세를 부과하며 대응했고, 이에 중국은 반발했다. 최근 EU와 중국 간 협상도 이 무역 분해를 해결하지 못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더 집중하는 전략으로 방향을 틀었다. 6월까지 중국 기업들은 관세 부과 전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며 유럽 전기차 시장의 10%를 차지했다.
지난주 중국 최고 정치 지도부가 내년 경제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반내권화 캠페인'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경제에서 '불공정 경쟁을 통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이슨 츠 쿠안 루(Jason Tzu Kuan Lu)가 추가 리서치를 수행했다.